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ambda
- SQLD
- streamlit
- 태블로
- 기초프로젝트
- 최종 프로젝트
- If
- 전처리
- pandas
- jd
- 기초통계
- 크롤링
- Chat GPT
- 군집화
- GA4
- 머신러닝
- da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데이터분석
- 프로젝트
- Python
- 서브쿼리
- data analyst
- cross join
- 히트맵
- 데이터 분석
- SQL
- 팀프로젝트
- 시각화
- 클러스터링
- Today
- Total
세조목
스타터 노트(시작) 본문
1. 내가 데이터 분석 코스에 참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 22년 4월 '선진'이라는 회사의 채권관리 부서에 입사했습니다. 고객들이 외상대금 및 이자를 제때 납부하고있는지, 부실 위험은 없는지 사전 예방 활동을 주로 했었고 혹여나 문제가 생길 경우 담보 물건에 대해 임의 경매를 넣어야하기때문에 부동산에 대한 공부를 평소에 해두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상가, 상권쪽에 더 매력을 느껴서 해당 파트를 중점적으로 공부하다가 보다 집중적으로 공부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껴서 금년(23년) 4월 말일자로 1년여간 다니던 회사를 퇴사하고 상권분석과 온라인마케팅 수업을 듣기 시작했습니다. 5월부터 11월까지는 온라인 마케팅 수업을 수강했고, 10월부터는 상권분석 수업도 수강 시작하였는데요, 일반적으로 탁상에서 상권을 분석한다고 했을때는 '오픈업', '상권정보시스템', '나이스비즈맵'과 같은 상권분석시스템을 활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이보다 더 깊이있는 분석을 하기위해서는 python이나 r과같은 프로그램을 다룰수 있어야했고 통계적인 공부도 동반되어야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 분석 공부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현업에서 업무를 수행하며 분석적 역량을 쌓아나가는 것이 우선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데이터 분석 코스에 참여하게되었습니다.
2. 내가 이해한 데이터 분석가는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 제가 이해하는 데이터 분석가는 문제 상황이 발생했을때 문제의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가서 검증 및 인사이트 도출 후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솔루션까지 제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들입니다.
가설 검증은
1) raw data 수집 및 정제 2) 분석 툴을 활용한 분석 3) 시각화
이렇게 세가지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집니다.
3. 데이터 분석가의 역할과 비슷한 경험을 해 보았나요? 어떤 점이 유사하다고 생각했나요?
: 회사에서 채권관리 업무를 수행할때 부실 위험 거래처에 대한 리스크 점검이라는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해당 거래처에 대해서 다방면으로 추적 관찰하는 활동인데요, 담보 확보율이나 결제일 준수 여부, 신용 등급 등의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총점을 매기는 식으로 추적 관찰했습니다. 그리고 상가 부동산 외에도 전체적인 부동산 경기의 흐름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다보니 부동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치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숫자들 간의 관계에 대해서 고민하기도합니다. 가설검증에는 해당되지 않는 활동들이지만 숫자들 사이에서 인사이트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유사한 활동을 수행했다고 생각합니다.
4. 데이터 분석가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나의 강점과 연관된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혹은 보완, 개선하고 싶은 개인 역량이 있나요 ?
: 갤럽 강점 조사를 통해 저의 강점이 '배움, 성취, 최상화, 체계, 분석'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가에게 있어 분석적 역량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며 개발직군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분석 직무도 배움을 게을리하면 안 되는 직군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 배우는 과정 자체를 즐기며 또 그렇게 배웠던 내용들을 바탕으로 성취 쥐향적인 활동들을 수행했을때 희열감을 느끼기때문에 데이터 분석 활동과 강한 연관성을 가지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저는 평소 사람에 대한 호기심 특히 소비자들이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에 대해서 많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호기심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행동을 분석하는 활동을 수행하게 됐을때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장점이자 단점인 '강한 주장'은 데이터 분석가로서 업무를 수행할때에 조절할 필요가 있기는 합니다. 데이터 분석가는 다른 부서와 연계하여 진행하는 업무들이 꽤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때마다 제가 저의 주장만을 관철시키려고한다면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5. 본 코스 수료 후, 어떤 데이터 분석가로 성장하고 싶나요?
: 제 티스토리의 제목은 '세조목'입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라는 뜻인데요,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세상을 내려다본다는 느낌을 받을때가 종종 있기때문입니다. 누군가에게는 그저 떠다니는 것에 불과한 숫자들 사이에서 규칙성이나 인사이트를 발견했을때의 그 희열감은 매번 짜릿합니다. 제가 어느 산업으로 진출할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어느 산업을 가건 내일배움캠프에서 학습한 데이터 분석 내용들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분석적 역량을 키워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필요한 사람들 누구에게나 도움을 줄 수 있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로 성장하고싶습니다.
6. 그 외에 데이터분석 코스에 기대하는 것이 있다면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 단순히 python이나 SQL을 잘 다룬다고해서 분석을 잘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기술적인 부분보다도 중요한 것이 도메인 지식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산업에 대해 알고 있어야지 숫자들 사이에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곧 있으면 본 캠프가 시작되는데 다양한 산업에서 현업에 종사하시는 멘토분들과 대화하면서 제가 어떤 산업으로 진출할지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데이터 분석 공부 > 내일배움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Hub 정리 (0) | 2024.01.26 |
---|---|
데이터 분석가란 어떠한 직군이며 데이터 분석 時 무엇이 가장 우선돼야하는가?(feat. 엑셀 vs 파이썬)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