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treamlit
- da
- 데이터분석
- 데이터 분석
- Chat GPT
- SQL
- jd
- GA4
- 히트맵
- 기초통계
- 태블로
- 머신러닝
- pandas
- 팀프로젝트
- If
- 시각화
- 최종 프로젝트
- SQLD
- 전처리
- 프로젝트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군집화
- lambda
- 클러스터링
- cross join
- 크롤링
- Python
- 기초프로젝트
- 서브쿼리
- data analyst
- Today
- Total
목록GA4 (20)
세조목
금일은 ppt 발표자료 제작을 마무리하고, 팀원으로부터 streamlit 대시보드 최종본을 공유받았습니다. * streamlit 대시보드 링크 : https://ganetga-dashboard.streamlit.app/ ppt의 경우 내일 최종 점검 후 팀원들에게 공유하여 피드백을 받고, 수정할 사항이 있다면 수정하여 발표 영상 녹화 진행할 예정입니다. 발표자료는 최종 작업이 끝난 후 게시 예정입니다.
금일은 어제 최종적으로 정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ppt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ppt 제작에 들어가기 전 마지막으로 한 번 더 튜터님께 검토를 받았는데요, Python의 streamlit이라는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대시보드를 만들어보는게 어떻겠냐고 말씀하셨습니다. streamlit이란 웹/앱 페이지를 웹/앱 프로그래밍 없이도 간단하게 만들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GitHub와 Streamlit을 연동시켜놓고 내 py파일(파이썬 파일)을 GitHub에 업로드해놓으면 코드에 적힌대로 Streamlit에 웹 페이지가 만들어집니다. 저희는 대시보드가 필요했기때문에 위 이미지와같은 대시보드를 streamlit을 활용하여 구축하기로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적으로 여유가 없다보니 이전처럼 팀원들 각자 만들어보고 가장 깔..
심화 프로젝트 10일차입니다. 금일은 지금까지 분석했던 내용들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팀원들과 3시간 정도 회의를 진행하면서 다양한 이야기들을 주고받았고 그 과정에서 혼자서라면 생각하지 못했을 아이디어들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금번 심화 프로젝트의 발표 목차와 내용들을 정리해서 튜터님께 flow check를 받았습니다. 다양한 피드백을 주셨는데 개인적으로는 욕심이 났지만 남은 프로젝트 기간동안 해당 내용들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기보다는 이번 프로젝트는 지금까지 정리된 내용 정도로만 마무리하고, 피드백 받은 부분은 개별적으로 연습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팀원들과 입을 맞췄습니다. 저희가 느끼기에도 지금까지 정리된 내용의 인사이트 부분이 다소 부실한 감이 없지..
심화 프로젝트 8, 9일차에는 아래 To Do 리스트에 따라 ECDF 코드 작성과 CC(Carrying Capacity)계산을 수행했습니다. 동제 : 케어링 케퍼시티(학습 & 시간 여유 있으면 직접 구해보기) 정희 : ECDF 지훈 : 블랙프라이데이 전주, 블랙프라이데이 주, 블랙플라이데이 그 다음주 ID별 totals 계산 지훈 1. 16년 8월부터 17년 8월 순서로 바 그래프 그리기 2. 16년 10월, 11월 channelGrouping 별 파이차트 동제 1. 첫 방문자 중 구매한 시점의 분포를 구해보기(for 신규고객 정의) 정희 1. 이탈자 수 counting하기위해 이탈 기간을 어느 정도로 잡는게 적정한지 파악 ECDF 코드 작성 group = train_df2.groupby(['date',..